지하철 요금은 매일 사용하는 교통비인 만큼, 조금이라도 아끼는 방법을 알고 있다면 연간 수십만 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어떤 카드를 써야 하는지, 어떤 사람이 할인 대상인지, 그리고 할인받을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.
1. 알뜰교통카드 – 최대 30%까지 마일리지 적립
항목 | 항목 |
대상 | 만 19세 이상 전국 성인 |
할인 방식 | 버스·지하철 사용 거리만큼 마일리지 적립 |
절약 가능 금액 | 월 최대 19,800원까지 절약 가능 |
신청 방법 | 홈페이지 또는 앱으로 카드 신청 후 사용 |
- 별도의 앱 설치 및 주행거리 기록 필요
- 교통카드와 연동되는 전용 신용/체크카드 선택 가능
2. 기후동행카드 – 서울시 무제한 교통 정기권
항목 | 내용 |
대상 | 서울 시민, 청년(19~34세) 특별 할인 |
사용 범위 | 서울 지하철 전 노선 + 따릉이 포함 |
가격 구조 | 월 62,000원(청년은 할인 적용 시 49,500원) |
이용 조건 | 1일 최대 이용 횟수 제한 없음, 실시간 QR 체크인 방식 |
- 기존 지하철 정기권보다 더 폭넓은 범위와 혜택 제공
- 따릉이 무료 포함이라는 점에서 가성비가 높음
3. K-패스 / 경기패스 / I-패스 – 교통비 환급형 카드
카드명 | 지역 대상 | 지원 방식 |
K-패스 | 전국 일부 지자체 | 월 교통비의 일정 비율 환급 |
경기패스 | 경기도 거주자 | 대중교통 최대 53% 환급 |
인천 I-패스 | 인천 시민 | 월 44회 이상 이용 시 교통비 지원 |
- 만 19~34세 청년층 또는 사회초년생 중심의 정책
- 실적 조건(횟수, 거리 등)을 충족해야 환급 가능
4. 경로우대 교통카드 – 만 65세 이상 무임승차
항목 | 내용 |
대상 | 만 65세 이상 노인, 등록 장애인 등 |
적용 범위 | 수도권 지하철 전 구간 무임 |
발급 방법 | 주민센터 또는 지정 은행 방문 신청 |
사용 제한 | 무임 대상은 개인 본인만, 타인 사용 시 제재 |
- 무임 교통카드는 반드시 실물 카드로 소지해야 함
- 일부 지역 간 노선 연계 시 무임 제외되는 경우도 있음
5. 주요 신용·체크카드 교통비 할인 비교
카드명 | 할인율 | 전월 실적 | 할인 한도 |
신한 B.Big 체크카드 | 10% | 30만원 이상 | 월 1만원 |
하나 마이패스 카드 | 20% | 50만원 이상 | 월 2만원 |
삼성 iD MOVE 카드 | 10% | 40만원 이상 | 월 2만원 |
KB 노리 체크카드 | 10% | 30만원 이상 | 월 5천원 |
롯데 LOCA 365 카드 | 10% | 50만원 이상 | 월 5천원 |
- 교통카드로 자동 연동 사용 시 혜택 적용
- 실적 조건 충족 시 할인은 교통 외에도 확대 가능
6. 지하철 조조할인 – 아침 출근족을 위한 제도
항목 | 내용 |
적용 시간 | 첫차 ~ 오전 6시 30분 이전 |
할인율 | 기본 요금의 20% 할인 |
이용 조건 | T머니 또는 후불교통카드 이용 시 자동 적용 |
- 지하철만 해당, 버스는 적용 제외
- 정기권과 중복 사용 불가
7. 정기승차권 / 거리비례 정기권 – 매일 타는 사람에게 유리
유형 | 대상 | 가격 | 혜택 |
서울시 정기권 | 전 구간 1개월 | 약 60,000원 | 60회 탑승 가능 |
거리비례 정기권 | 수도권 통근자 | 거리별 차등 | 최대 60% 절약 가능 |
- 평일 출퇴근자라면 월 정액보다 더 유리한 구조
- 하루 2회 이상 타는 사용자에게 적합
8. 자주 묻는 질문 (Q&A)
① 알뜰교통카드 적립은 어디로 들어오나요?
→ 마일리지는 교통비 결제 후 자동으로 누적되며 환급 신청 시 계좌로 입금됩니다.
② 기후동행카드는 누구나 구매 가능한가요?
→ 서울시에 주민등록 된 시민만 구매 가능합니다.
③ K-패스는 다른 교통 할인과 중복 가능한가요?
→ 불가능합니다. 알뜰교통카드와 K-패스는 중복 지원되지 않습니다.
④ 조조할인 시간 이후 탑승 시 환승해도 할인되나요?
→ 첫 탑승 시점 기준이기 때문에 이후 환승은 조조할인에 포함됩니다.
⑤ 경로우대 교통카드는 신분증만 있으면 되나요?
→ 아니요. 실물 카드가 있어야 무임 탑승이 가능하며 등록이 필요합니다.
⑥ 지하철 타면 다이어트도 되나요?
→ 하루 1만 보 이상 걷는다면 카드보다 건강 절약 효과도 큽니다.
⑦ 친구 카드를 빌려도 할인되나요?
→ 불가능합니다. 특히 무임이나 우대카드는 본인 외 사용 불가입니다.
⑧ 알뜰카드 적립으로 커피 한 잔은 가능한가요?
→ 네, 월 1만원 이상은 기본! 커피+디저트도 충분합니다.
9. 요약 정리
- 지하철 요금 할인 방법은 총 8가지: 알뜰교통카드, 기후동행카드, K-패스, 경로우대카드, 조조할인, 정기승차권, 신용·체크카드, 거리비례권
- 연령·거주지·통근 거리별로 맞춤 할인 카드 선택
- 카드 없이도 조조할인·정기권만으로도 상당한 절약 가능
- 교통비 월 1~3만원 이상 아끼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
이제 본인의 이동 패턴과 조건에 맞춰 할인 방법을 조합하면 지하철 요금 부담을 확실히 줄일 수 있습니다.